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바로

백준 알고리즘 1004번(자바)

문제입니다



문제

어린 왕자는 소혹성 B-664에서 자신이 사랑하는 한 송이 장미를 위해 살아간다. 어느 날 장미가 위험에 빠지게 된 것을 알게 된 어린 왕자는, 장미를 구하기 위해 은하수를 따라 긴 여행을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어린 왕자의 우주선은 그렇게 좋지 않아서 행성계 간의 이동을 최대한 피해서 여행해야 한다. 아래의 그림은 어린 왕자가 펼쳐본 은하수 지도의 일부이다.




빨간 실선은 어린 왕자가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 도달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행성계 진입/이탈 횟수를 최소화하는 경로이며, 원은 행성계의 경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로는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지만 적어도 3번의 행성계 진입/이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은하수 지도, 출발점, 도착점이 주어졌을 때 어린 왕자에게 필요한 최소의 행성계 진입/이탈 횟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자. (행성계의 경계가 맞닿거나 서로 교차하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한다. 또한, 출발점이나 도착점이 행성계 경계에 걸쳐진 경우 역시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 출발점 (x1, y1)과 도착점 (x2, y2)이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는 행성계의 개수 n이 주어지며, 세 번째 줄부터 n줄에 걸쳐 행성계의 중점과 반지름 (cx, cy, r)이 주어진다. 입력제한은 다음과 같다. (-1000 ≤ x1, y1, x2, y2, cx, cy ≤ 1000, 1 ≤ r ≤ 1000, 1 ≤ n ≤ 50)

좌표와 반지름은 모두 정수이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어린 왕자가 거쳐야 할 최소의 행성계 진입/이탈 횟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예제 출력


문제풀이

이번 1004번 문제는 앞서 풀었던 1002번 문제랑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문제에서 두가지 가정을 주었습니다.
하나는 경계가 맞닿거나 서로 교차하는 경우가 없다고 가정한거고
또 다른 하나는 출발점이나 도착점이 경계에 걸쳐진 채로 입력이 주어지지 않는다고 가정했습니다.
이 의미는 출발점이나 도착점이 행성계에 속하지 않는다면 통과되지 않고 갈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출발점이 행성계 안 & 도착점이 행성계 밖에 있을 경우>

출발점이 행성계 안에 있으면 도착점으로 어떤 방향으로 가든
행성계 이탈이 필수적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습니다.

x1,y1이 출발점 좌표라고 가정하고 cx,cy,r이 행성계 좌표 및 반지름 이라고 가정하면

Math.pow(x1 - cx, 2) + Math.pow(y1 - cy, 2) < Math.pow(r, 2)

이런 식에 조건 식 코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출발점이 행성계 밖 & 도착점이 행성계 안에 있을 경우>


도착점이 행성계 안에 있으면 출발점에서 도착점으로 어떤 방향으로 가든
행성계 집입이 필수적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습니다.

x2,y2이 도착점 좌표라고 가정하고 cx,cy,r이 행성계 좌표 및 반지름 이라고 가정하면

Math.pow(x2 - cx, 2) + Math.pow(y2 - cy, 2) < Math.pow(r, 2)

이런 식에 조건 식 코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출발점이 행성계 안 & 도착점이 행성계 안에 있을 경우>


출발점이 행성계 안에 있고 도착점도 같은 행성계 안에 있으면 어떤 방향으로 가든
행성계 진입/이탈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x1,y1이 출발점 좌표 그리고 x2,y2가 도착점 좌표라고 가정하고
 cx,cy,r이 행성계 좌표 및 반지름 이라고 가정하면

Math.pow(x2 - cx, 2) + Math.pow(y2 - cy, 2) < Math.pow(r, 2)
 &&
Math.pow(x1 - cx, 2) + Math.pow(y1 - cy, 2) < Math.pow(r, 2)


이런 식으로 앞서 사용한 조건 두개를 and문으로 묶어 조건 식 코드를 구현합니다.




<출발점,도착점이 행성계 밖에 있을 경우>

출발점이랑 도착점이 행성계 밖에 있다면 위에 그림과 같이 어떻게든 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행성계 진입/이탈을 하지 않아도 가능합니다.

또한 앞서 만들어 놓은 조건식에 else로 두면 되기 때문에

별도의 조건식 코드를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최종코드


if문에는 같은 행성계 안에 출발점과 도착점이 모두 있을 경우

else if문에는 출발점만 행성계 안에 있을 경우와 도착점만 행성계 안에 있을 경우를 적어

위에 보이는 코드처럼 작성해줍니다.






느낀점

기존의 1002번 문제를 해결할 때 공부했던 좌표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면

1004번 문제의 코드는 어렵지 않게 작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처음 문제를 봤을 때 이해하는데 시간이 조금 걸렸다.






반응형

+ Recent posts